활동성 지표에는 총자본 회전율과 재고자산 회전율, 고정자산 회전율, 매출채권 회전율 등이 있습니다.
기업은 물건의 회전, 돈의 회전, 자본의 회전 등으로 구성 되는데 이 회전이 빨라지면 기업이 좋아지고 있다는 징표이며 반대로 이 회전이 점차 늦어진다면 기업이 어려워진다는 징표가 됩니다.
총자본 회전율이란 매출액을 총자본으로 나눈 것으로,
예를 들어 어느 기업의 총자본 회전율이 1.5라고 할때 이것은 자본이 1년에 1.5바퀴 돌았다는 뜻입니다.
재고자산 회전율은 매출액을 재고자산으로 나눈 것으로 예를 들어 재고자산 회전율이이 3.5라고 했을때 1년에 3.5회 돌았다는 뜻입니다.
마찬가지로 고정자산 회전율과 매출채권 회전율 또한 이런식으로 구할 수 있는데요.
왜 이런 것이 중요하냐면 주가가 이 지표에 의해 반응을 하며 순이익을 보지 않더라도 이 회전율을 보면 기업 현황이 좋은 쪽으로 움직이는지, 나쁜쪽으로 움직이는지를 파악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재테크 & 자기계발 > 주식 기본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오롱글로벌로 보는 적정주가 (0) | 2018.01.29 |
---|---|
성신양회 안정성 지표 (0) | 2018.01.16 |
ROA 총자산이익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01.11 |
ROE 자기자본이익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01.10 |
PBR 주당순자산 비율이란? (0) | 2018.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