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 자기계발/주식 기본분석

PBR 주당순자산 비율이란?

오늘은 PB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BR이란 주가순자산비율로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비율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인데요.


순자산은 대차대조표의 총자산에서 부채(유동부채+고정부채)를 차감한 후의 금액을 말합니다.



PER(주가수익비율)는 주가의 수익성만으로 주가를 판단하지만 PBR(주당순자산비율)은 기업의 실제적인 자산면에서 주가를 판단합니다.


PBR이 1이면 주가와 기업의 청산가치가 같다는 뜻이며 PBR이 1미만이면 주가가 장부상 순자산가치에도 못미친다는 뜻입니다.


PBR이 낮을수록 주가는 저평가 되었다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먼저 포스팅 글의 BPS와 함께 연동해서 많이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참고로 PBR이 낮을수로 좋지만 무조건 모든 종목이 다 좋다고 말할 수는 없는데요. 그것은 분모인 BPS 즉, 자산가치가 부동산처럼 가격이 잘 안떨어지는 것도 있지만, 기계설비나 영업권 같은 부도시 자산의 가치가 형편없이 떨어지는 요인도 발생합니다.



그렇기에 그 회사의 자산이 정말 돈이 되는 자산인지 아니면 어떤 조건하에 자산가치가 떨어질 수 있는 자산인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PBR이 낮은 상태에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더이상 나빠지지 않고 회복하는 시기를 선택해서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PBR이 낮다고 장기투자 해서 꼭 1배수 만큼 주가가 오른다거나, BPS에 비해 저평가 되었다고 해서. 꼭 BPS 수치만큼 오른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매출이 없다면 당연히 시간이 지날수록 모든 지표는 떨어지기 때문에 가장 좋은 것은 PBR과 BPS가 저평가 상태에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더이상 나빠지지 않고 좋아지는 종목을 찾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