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 자기계발/주식 기본분석

EPS 주당순이익이란 무엇인가!

EPS (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EPS = 순이익 / 발행주식수


EPS는 투자에 있어서 기업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인데요.


기업이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할 수 있는가에 대한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EPS가 높으면 높을수옥 그 기업의 주식가치는 높아지고 기업의 투자가치가 올라갑니다.




주당순이익이 높으면 회사경영이 그만큼 원만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회사의 수익성도 좋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사내 보유금만으로 배당이나 재투자할 여력이 충분하여 지속적으로 주주가치가 증가할 수 있게 되는데요.


우량한 기업은 당기순이익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례 주당순이익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경기변동에 따라 순이익의 변동이 큰 기업도, 우량한 기업일 경우 장기적인 추세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는데요.


따라서 기업의 특성에 상관없이 우량한 기업의 주당순이익은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추세가 그려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만약 기업이 유상증자를 하거나 CB, BW 소유자가 권리를 행사해 주식수가 증가해 주당순이익이 희석될 수 있는데요. 당연히 주당 순이익이 감소되어 기업의 투자 매력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반대로 자사주 매입이나 소각활동으로 주식수를 줄이게 되면 주주들의 주당순이익을 증가되어 기업의 투자 매력도는 올라갑니다.


단, 유상증자는 기업이 어려워져 운영자금을 목적으로 증자하는 것은 대개 좋지 못한 결과를 낳지만 예외적으로 기업이 탁월한 투자 기회가 주어졌는데 급히 자금이 필요한 경우에는 증자가 나쁜지 않은 결과를 가져 올수도 있습니다.


이상 EPS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