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왜 대학생들은 화염병과 돌을 던지지?"라고 생각했던 아련하고도 어렸던 학생시절!.
최루탄 냄새에 코를 막고 등교하던 시절이 떠오릅니다.
그때의 사람들이 왜쳤던 민주주의의 씨앗이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을 있게 만든 것이 아닌가 생각 되는데요.
뉴스 TV에서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습니다” 1987년 1월, 경찰 조사를 받던 스물두 살 대학생이 사망하고 증거인멸을 위해 박처장(김윤석)의 주도 하에 경찰은 시신 화장을 요청하지만,
사망 당일 당직이었던 최검사(하정우)는 이를 거부하고 부검을 밀어붙입니다.
단순 쇼크사인 것처럼 거짓 발표를 이어가는 경찰. 그러나 현장에 남은 흔적들과 부검 소견은 고문에 의한 사망을 가리키고, 사건을 취재하던 윤기자(이희준)는 ‘물고문 도중 질식사’를 보도합니다. 이에 박처장은 조반장(박희순)등 형사 둘만 구속시키며 사건을 축소하려 합니다.
한편, 교도소에 수감된 조반장을 통해 사건의 진상을 알게 된 교도관 한병용(유해진)은 이 사실을 수배 중인 재야인사에게 전달하기
위해 조카인 연희(김태리)에게 위험한 부탁을 하게 되고…
이야기는 이렇게 1987년 6월 항쟁의 시발점이 되었던 한 사건을 파헤치게 되는데요.
'지구를 지켜라!'' 화이,괴물을 삼킨 아이'의 장준환 감독과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이희준이 등장하며 배우와 같이 호흡하는 카메라 워킹으로 1987년, 그때 그 시절의 진짜 이야기를 담아냅니다.
장준환 감독은 그 시절을 겪었던 관객들이 영화를 봤을 때, 당시를 회상하고 감동 받을 수 있기를 바랬고, 수천 장이 넘는 자료를 찾으면서 최대한 리얼하게 고증을 지키기 위한 노력했다고 합니다.
1980년 후반의 모습은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45,000평의 부지에 오픈 세트를 지었고, 뜨거운 열기가 하나로 모였던 연세대학교 정문부터 시청 광장, 명동 거리, 유네스코 빌딩, 코리아 극장 등을 되살려냈습니다.
실제 각종 집회와 민주화를 촉진하는 성명서가 발표되었던 명동성당 내부에서의 촬영이 한국 영화 사상 최초로 허가되었고,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을 스크린에 생생하게 담아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시사회 반응은 대체적으로 호의적이지만 1987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분들에게는 다소 배경인물들이 많아 이해하기 어려웠다는 평이 있네요.
'세상만사 > 시네마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억의 명작 죽은 시인의 사회 (0) | 2018.01.02 |
---|---|
쥬만지 새로운세계 (0) | 2017.12.29 |
명작영화 가타카 (0) | 2017.12.19 |
위대한쇼맨 (0) | 2017.12.17 |
강철비는 어떤 영화일까?! (0) | 2017.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