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것들/건강

안구건조증 치료에 대해 알아보자

요새 눈이 안좋아지는 원인 중에 안구건조증을 빼 놓을 수 없는데요.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하게 되면 눈이 뻑뻑해지고 가끔 통증이 오기도 합니다.


예삿일이 아닌데 그럼 안구건조증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안구건조증이란?


안구건조증이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이 되면 발생이 될 수 있는데요. 또한 눈물 구성성분의 균형이 맞지 않거나 안구 표면이 손상되면서 눈이 시리고 자극감과 이물감, 건조감 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비교적 가벼운 증상으로 방치하게 되는데요.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근본적인 치료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질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증상


증상은 눈에 모래알이 들어간 듯한 이물감이 있으며 눈이 시리고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는데요. 또 쉽게 눈이 피로해지며 겨울철 찬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잘 흐릅니다. 심한 경우 두통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원인


원인은 40세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노화로 인해 체내 수분량이 감소되면서 눈물의 양이 줄어 들거나 눈물의 상태가 변하게 되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쇼그렌 증후군, 스티브존슨 증후군, 당뇨병이나 비타민 A결핍 등이 있으며 또한 염증성 질환이나 만성결막염 기타 환경적 요인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근래에는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등으로 인해 눈의 깜박임의 횟수가 줄어 들고 눈물이 쉽게 증발이 되어 안구건조증이 발생되기 쉽습니다.





치료


안구건조증은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른데요. 눈물층의 수성층 부족에 따른 안구건조증은 인공 눈물 점안으로 치료를 하고, 지방층의 부족에 의한 눈물 증가일 경우에는 눈꺼풀 염증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안구의 염증이 주된 원인일 경우는 항염증치료를 시행합니다.






예방


치료도 중요하지만 예방하는 것도 중요한데요. 주위 환경이 너무 건조하지 않게 실내 습도를 유지고 눈 주위 청결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그리고 장시가 컴퓨터 작업이나 게임기 사용, 독서 등을 피하고 중간중간 휴식을 취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오메가3나 비타민A등 눈에 좋은 영양소를 음식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눈물 분비량을 늘리고 눈에 영양소를 공급해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