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자격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건모가 방송에서 노후대비를 위해 준비한다고 했을만큼 요즘 블루로션으로 뜨고 있는데요.
물론 방송에서 우스갯소리로 한 얘기일 수도 있습니다만, 현재 드론을 이용해 직업으로 삼고 계신 분들도 계십니다.
하지만 드론 전망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다가서는 것은 적지 않은 경제적인 부담과 시간을 낭비할 수도 있는데요.
추천글..
2018/02/26 - DJI 드론 매빅에어 MAVIC AIR
2018/02/20 - 블루투스 스피커 캔스톤 LX-C5
우선 드론자격증은 교통안전공단에서 실시하는 국가자격증과 협회나 일반기업에서 실시하는 민간자격증이 있습니다. 국가자격증은 12kg 이상 산업용 드론을 날릴 수 있으며 국가에서 인증한 자격증이기 때문에 운전면허와 같은 효력을 가집니다.
국가자격증을 따려면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전문교육기관 또는 일반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아야 하는데, 비용이 최소 150만원에서 300만원 이상이 들며 교육기간은 대략 2주에서 3주 내외로 교육을 이수해야지만 교통안전공단에서 주관한 실기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합격률은 대략 60% 내외라고 하네요.
4차산업혁명의 한 축으로 언급된 드론산업은 아직까지는 초기시장으로 상용화와 정착이 미비한데요. 현재 기업체에서 전문적인 인력을 고용할 만큼 산업화가 이루어 지지 않은 탓에 직업군으로 삼기에는 위험부담이 따릅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에서 드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1조 2000억원을 투자해 16만 4천개의 일자리가 창출된다고 하는데요. 앞으로 드론산업이 어떻게 전개가 될지 모르기에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준비를 해 두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것 같네요.
또한 현재 직업으로 삼고 계신 분들은 기존의 헬리콥터를 대체해 항공촬영을 하거나, 농업용 제초, 또는 산업용 탐지활동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지금은 아니지만 향후 택배서비스 등 산업화가 이루어 진다면 전망이 그리 나쁘지도 않을것 같습니다.
드론 학원 선택시 유의해야 할 사항이 있는데, 우선 국가자격증을 따려면 필수조건으로 비행경력을 인증 받아야 합니다. 비행경력을 인증 받으려면 학원을 다녀야 하는데요.
학원은 전문교육기관과 일반교육기관이 있으며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전문교육기관의 경우 이곳을 이수하게 되면 필기시험은 면제되고 실기시험 응시자격이 주어집니다. 현재 11곳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론 20시간, 모의비행 20시간, 실기비행 20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학원의 경우 필기시험을 봐야한다는 것이 차이가 있지만 비용이 조금 저렴하다는 면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두 곳 모두 어느 곳이 낫다라기보다 지도자의 능력이나 학원의 설비 등을 살펴봐야 합니다. 또한 비용절감이 우선이냐, 자격증 따는 시간을 단축할 것이냐를 고려해 봐야하며, 무엇보다 취득 이후 취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곳으로 선택해야 할 것입니다.
이상 드론자격증과 학원선택시 유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세상만사 > 제품 리뷰 및 science techn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동물은? (0) | 2018.03.25 |
---|---|
Beoplay E8 베오플레이 블루투스 이어폰에 대한 모든 것! (0) | 2018.03.21 |
샤오미 로봇청소기 1세대와 2세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18.03.05 |
다이슨 슈퍼소닉 헤어드라이기(Dyson Supersonic)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18.03.02 |
DJI 드론 매빅에어 MAVIC AIR (0) | 2018.02.26 |